본문 바로가기
우주이야기

블랙홀에 빠지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by 주린이의 티태 2025. 10. 19.
반응형

*블랙홀에 빠지면 어떻게 될까요? 영화 인터스텔라처럼 시공간을 넘나들 수 있을까요?

 

 

 

블랙홀



 

블랙홀에 빠지면 실제로 어떻게 될까?

블랙홀의 중심에는 특이점! 이라는 지점이 있어, 밀도가 무한대이고 현재의 물리법칙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해요.

블랙홀에 접근할 때 중요한 개념은 '사건의 지평선' 입니다.

 

-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의 "경계", 이 안으로 들어가면 빛 조차 탈출할 수 없어요.
- 중력 기울기(조석력)는 블랙홀 중심으로 가까워진수록 중력이 급격히 강해집니다.

 - 작은 블랙홀은 머리와 발에 작용하는 중력이 극단적으로 달라져서 '스파게티화'현상이 나타나는데요. 몸이 길게 늘어가면서 찢어질 수 있어요.

  -  큰 블랙홀(수십~수백만 태양질량)은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 조석력은 비교적 약해, 조금더 오래 생존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현실에서는 블랙홀 안으로 들어가는 순간 '죽음'은 거의 확실하고 인터스텔라 영화 같이 우아하게 시공간을 넘나드는 모험은 어려워요.

 

시간과 시공간의 상대성 : 영화 인터스텔라

 

인터스텔라는 강한 중력자엥서 시간 지연 효과를 극적으로 보여준것으로 생각됩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 블랙홀 근처 강한 중력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릅니다.

- 예를 들어 보자면 블랙홀 가까이 있는 사람은 지구에서 몇시간이 지난 사이에 수년이 흐를 수 도 있어요.

- 하지면 '과거'나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 해요. 영화 속 '월홀/5차원공간'은 과학적 상상력에 기반한 극적 장치랍니다.

 

 

 

블랙홀

 

인터스텔라 블랙홀 vs 현실 블랙홀

영화 인터스텔라의 블랙홀 ‘가르강튀아’와 실제 블랙홀을 비교하여, 영화적 상상력과 현실 물리학의 차이를 살펴봅니다.

 

 

 

1️⃣ 영화 인터스텔라 속 가르강튀아

  • 초대질량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 주변 강력한 중력 렌즈 효과
  • 웜홀로 시공간 이동 가능
  • 시간 지연(time dilation) 극대화 — 블랙홀 근처 몇 시간 = 지구에서 수년
  • 5차원 공간과 극적 시각화 연출

2️⃣ 실제 블랙홀

  • 중심 특이점 존재, 현재 물리법칙으로 내부 설명 불가
  • 사건의 지평선 넘으면 빛도 탈출 불가
  • 조석력에 의해 스파게티화 발생(찢어짐 발생 가능성)
  • 시간 지연 존재, 웜홀처럼 자유로운 이동 불가
  • 중력 렌즈 효과 관측 가능, 영화보다 단순

3️⃣ 비교: 영화 vs 현실

영화 인터스텔라 : 가르강튀아

  • 웜홀과 연결 가능
  • 시간과 공간 자유롭게 넘나듦
  • 5차원 공간 시각화

 

 

현실 블랙홀

 

실제 블랙홀 M87 이미지
  • 사건의 지평선 넘으면 탈출 불가
  • 스파게티화 발생, 생존 불가
  • 시간 지연 존재하지만 시공간 이동 불가

 

 

위 포스팅을 정리하자면

- 시간 지연을 실제로 존재합니다.

- 블랙홀 내부로 들어가면 물리법칙이 붕괴됩니다.

- 영화처럼 시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것은 현재의 과학으로는 불가능 합니다.

 

재밌는 점은

만약 거대한 초대질량 블랙홀(은하 중심의 블랙홀)주변이라면 '조석력은 작고, 사건의 지평선 근처를 "근접관찰"'하는 것은 이론상으로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가면 모든 정보는 외부로 전달될 수 없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