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는 태양과 그 주위를 공전하는 8개의 행성, 180개가 넘는 위성, 그리고 수백만개의 작은 천체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태양은 태양계 질량의 99%를 차지할 정도로 큰데, 이것은 태양이 가장 강력한 중력을 자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중력덕분에 마치 지구의 중력이 사과를 땅으로 떨어뜨리듯이 태양 주변의 행성들을 잡아당기지요.
다행이 행성의 공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 태양의 중력과 균형을 이루어 행성이 태양으로 끌려가진 않아요.
마치 끈에 달린 공이 빙빙돌면서 떨어지지 않는 것처럼, 태양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행성고 돌덩어리들이 정해진 궤도를 따라 공정하지요.

태양계에서 태양 다음으로 큰 물체가 행성이에요.
태양과 가까운 안쪽의 네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은 딱딱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구형 행성'이라고 해요.
또한 화성을 지나면 기체로 이루어진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만날 수 있는데, 이들을 '목성형 행성'이라고 하지요.
이들은 질량이 지구의 15~300배나 되는 거대 행성으로 고체표면이 없으며, 구름층에 겹겹이 싸여있어요.
태양계는 46억년 전 가스와 먼지 구름이 중력으로 뭉쳐지면서 생겨났는데요.
수억년에 걸친 뭉침은 가스와 먼지의 회전을 가속시켜 태양계가 평평한 원반처럼 외었어요.
엄청난 양의 압축된 물질이 원반의 중심에 모여 태양이 되었고, 남은 물질들은 각각 무리지어 행성과 위성이 되었지요.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은 태양과 행성들에 마음을 빼앗겼어요.
요즘은 탐사선들이 행성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보내와요.
명왕성에서는 얼음화산이, 해왕성에서는 다이아몬드 우박이 목격되는 등 새로운 발견도 이루어지고있어요.
이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행성인 수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수성
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빠른 공전 속도와 극단적인 온도 차로 유명해요.
영어 이름 ‘Mercury’는 로마 신화에서 신들의 전령을 뜻하며, 그 빠른 움직임을 상징합니다.

수성의 이름과 기초 정보
수성의 영어 이름은 Mercury(머큐리)로, 로마 신화의 신 ‘메르쿠리우스(Mercuriu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는 신들의 전령이자 속도와 이동을 상징하는 존재로, 수성의 빠른 공전 속도와 잘 어울려 보여요.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눈으로 직접 관측하기 어렵지만 일출 직전이나 일몰 직후 서쪽 또는 동쪽 하늘에서 희미하게 볼수 있어요.
태양계에서 수성은 가장 작은 행성이에요.
지름은 약 4,879km로, 지구의 약 38% 수준이고, 질량은 3.30×10²³kg이며, 밀도는 지구와 비슷할 정도로 높아 금속 중심핵이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대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태양의 복사를 그대로 받아 낮과 밤의 온도차가 매우 큰 행성입니다.
또한, 수성은 위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이는 태양의 강력한 중력 영향으로 인해 안정적인 위성 궤도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이에요.
수성의 공전과 자전 특성
수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87.97일(약 88일) 만에 한 바퀴를 공전합니다.
이는 태양계 행성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평균 공전속도는 시속 약 172,000km에 이릅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안쪽 궤도를 도는 만큼, 태양의 중력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행성이에요.
자전은 공전에 비해 매우 느려요.
수성의 자전주기는 약 58.6일로, 공전주기와 일정한 비율(3:2 공명)을 유지합니다.
즉, 수성은 태양을 두 바퀴 도는 동안 자전은 세 번 일어나요.
이로 인해 수성의 하루(태양이 떠서 다시 지는 데 걸리는 시간)는 약 176일(지구일 기준)로, 실제 공전주기보다 길지요.
이 독특한 회전 비율 덕분에 수성의 표면에서는 태양이 서서히 뜨다가 멈췄다가 다시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특이한 현상도 관측됩니다.
수성의 표면과 환경적 특징
수성의 표면은 달과 비슷한 회색빛 암석으로 덮여 있으며, 운석 충돌로 생긴 크레이터가 많습니다.
대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태양빛을 직접적으로 받으며, 온도차가 극단적입니다.
낮에는 표면 온도가 약 +430°C까지 오르고, 밤에는 −180°C까지 떨어져요.
NASA의 탐사선 MESSENGER(메신저)가 수성의 극지방에서 태양빛이 닿지 않는 음영 지역에 얼음층이 존재함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태양과 매우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내부의 온도 분포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수성에는 매우 약한 자기장이 존재하는데, 이는 중심핵이 여전히 액체 상태로 남아있기 때문으로 추정돼요.
이는 행성 형성 이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수성은 작은 크기와 강한 태양 복사 환경 때문에 인류가 직접 탐사하기 어려운 행성이지만, 향후 탐사 계획(예: 유럽-일본 공동 탐사선 BepiColombo)을 통해 더 많은 정보가 밝혀질 전망이에요.
수성(Mercury)은 태양계에서 가장 작고 가장 빠른 행성이지만, 그 안에는 복잡한 과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어요.
빠른 공전주기, 극단적인 온도차, 그리고 얼음의 존재까지 — 수성은 단순한 암석 행성이 아닌, 태양계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앞으로의 탐사와 연구를 통해 인류는 태양과 가장 가까운 이 신비로운 행성의 진면목을 더 깊이 알수 있을 것 같네요.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태양계 행성 알아보기 / 세번째 행성 - 지구 (0) | 2025.10.26 |
|---|---|
| 태양계 행성 들여다보기 / 두번째 행성 - 금성 (0) | 2025.10.25 |
| 최근 늘어난 태양활동으로 우리 인간은 얼마나 안전할까요? (0) | 2025.10.23 |
| 블랙홀에 빠지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0) | 2025.10.19 |
| 우주배경복사를 아시나요? (0) | 2025.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