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은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며,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지구의 쌍둥이 행성’으로 불리고 있어요.
영어 이름 ‘Venus’는 로마 신화의 사랑과 미의 여신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이 포스팅에서는 금성의 영어명 기원, 크기·질량·공전주기·자전특성, 그리고 두꺼운 대기와 표면 환경을 중심으로 금성의 과학적 특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금성의 영어이름과 기원
금성의 영어 이름은 Venus(비너스) 로, 로마 신화에서 사랑과 아름다움의 여신 ‘비너스’에서 비롯되었어요.
고대 그리스에서는 Aphrodite(아프로디테) 라고 불렸으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천체 중 하나이기 때문에 고대 문명들은 금성을 ‘빛의 별’, ‘샛별’ 등으로 숭배했다고 합니다.
금성은 태양과 달 다음으로 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로, 일출 직전 동쪽 하늘에서는 ‘새벽별(개밥별)’, 일몰 직후 서쪽 하늘에서는 ‘저녁별’로 불리고있어요.
이 때문에 고대에는 동쪽의 금성과 서쪽의 금성이 서로 다른 별로 여겨졌으나, 이후 같은 천체임이 밝혀졌습니다.
‘Venus’라는 이름은 금성이 지구에서 볼 때 아름답고 빛나는 모습에서 비롯된 상징적 표현입니다.
천문학적으로도 금성은 지구와 크기, 질량, 밀도가 비슷해 ‘지구의 자매행성(Earth’s Twin)’으로 불리지만, 대기 조성과 온도는 극단적으로 달라 흥미로운 대조를 이룹니다.

금성의 크기, 질량, 공전주기와 자전특성
금성의 평균 지름은 약 12,104km로 지구의 약 95% 수준이며, 질량은 4.87 × 10²⁴kg으로 지구의 약 81% 정도입니다.
중력은 지구의 약 90% 수준으로, 이론적으로 사람이 금성 표면에 설 경우 거의 지구와 유사한 중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금성은 태양으로부터 평균 약 1억 800만 km(0.72 AU) 떨어져 있으며,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약 224.7일(지구일 기준)이 걸려요. 다시 말해, 금성의 공전주기는 약 0.615년인데요.
흥미로운 점은 금성의 자전주기가 약 243일로 매우 느리며, 공전주기보다도 길다는 것이에요.
또한 금성은 역행자전(Retrograde rotation) 을 하는데, 이는 다른 행성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한다는 의미입니다.
태양이 금성의 하늘에서는 서쪽에서 떠서 동쪽으로 집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금성의 하루(태양일)는 약 117일(지구일 기준)로, 낮과 밤이 매우 깁니다.
금성의 대기와 표면환경, 탐사성과
금성의 대기는 두껍고 밀도가 매우 높아요.
대기의 96% 이상이 이산화탄소(CO₂) 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기압은 지구의 약 90배에 달해요.
이러한 대기 조성은 강력한 온실효과를 유발하여 표면 온도를 평균 약 465°C로 유지합니다.
이는 태양에 더 가까운 수성보다도 뜨거운 온도에요.
또한, 금성의 하늘은 짙은 황산 구름으로 뒤덮여 있어 표면은 직접 관측이 불가능합니다.
대신 레이더 관측이나 우주 탐사선의 레이다 맵핑을 통해 표면이 분석되었어요.
지형은 광대한 화산평원, 산맥, 충돌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표면의 약 80%가 용암으로 덮여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탐사로는 소련의 베네라(Venera) 시리즈와 NASA의 마젤란(Magellan), ESA의 비너스 익스프레스(Venus Express), 그리고 일본의 아카츠키(Akatsuki) 탐사선이 있습니다.
이 탐사 결과 금성에는 여전히 화산활동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대기 상층부에는 고속 제트풍이 부는 등 활발한 기상현상이 관측되었어요.
최근에는 금성 대기 중 인산(PH₃, phosphine) 의 존재 가능성이 보고되어 미생물 존재 가능성 논의가 일기도 했으나, 아직 명확한 증거는 없습니다.
금성(Venus)은 신화적 아름다움과 과학적 극한이 공존하는 행성입니다.
영어명 ‘Venus’는 빛과 사랑을 상징하지만, 실제 금성의 환경은 강렬한 온실효과와 황산 구름으로 둘러싸인 지옥과도 같습니다.
지구와 비슷한 크기와 밀도를 지녔음에도 전혀 다른 운명을 맞은 금성은, 행성 진화와 기후 변화를 연구하는 핵심 열쇠로 평가돼요.
향후 NASA의 DAVINCI, VERITAS 등 탐사 미션이 금성의 대기와 지질학적 비밀을 더욱 밝혀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태양계 행성 이야기 / 네번째 - 화성 (0) | 2025.10.28 |
|---|---|
| 태양계 행성 알아보기 / 세번째 행성 - 지구 (0) | 2025.10.26 |
| 태양계 행성 들여다 보기 / 첫번째 행성 - 수성 (0) | 2025.10.24 |
| 최근 늘어난 태양활동으로 우리 인간은 얼마나 안전할까요? (0) | 2025.10.23 |
| 블랙홀에 빠지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0) | 2025.10.19 |